한국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각자 정수 번호를 갖고 있습니다. 이 학교 학생 3명의 정수 번호를 더했을 때 0이 되면 3명의 학생은 삼총사라고 합니다. 예를 들어, 5명의 학생이 있고, 각각의 정수 번호가 순서대로 -2, 3, 0, 2, -5일 때, 첫 번째, 세 번째, 네 번째 학생의 정수 번호를 더하면 0이므로 세 학생은 삼총사입니다. 또한, 두 번째, 네 번째, 다섯 번째 학생의 정수 번호를 더해도 0이므로 세 학생도 삼총사입니다. 따라서 이 경우 한국중학교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삼총사를 만들 수 있습니다.
한국중학교 학생들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numb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학생들 중 삼총사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.
왜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슬라이딩 윈도우로 접근하고 있었다
풀다가 생각해보니 DP가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됐다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[] number) {
int answer = 0;
for(int i = 0 ; i<number.length; i++)
{
for(int j = i+1; j < number.length; j++)
{
for(int k = j+1; k < number.length; k++)
{
if(number[i]+number[j]+number[k]==0)
{
answer++;
}
}
}
}
return answer;
}
}
그래서 아주 간단하게 해결했다
시간복잡도는 O(n^3)이 되지만, number배열이 13개까지 밖에 없어서 문제는 없어보였다
DP와 반복문은 어떨때 써야하나
반복문, 재귀문 사용의 기준
1.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 할 때.
2. 문제의 규모가 작을 때.
3. 단순 계산이 필요할때
DP의 기준
1. 중복되는 하위문제.
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하지만, 재귀문의 경우 비효율적, 또는 스택오버플로가 발생할 수 있다.
hunk별로 스테이징하기 내가 수정한 부분을 확인하며 스테이징 영역으로 올리고 싶을때 git add -p hunk는 파일, 같은파일 안에서도 연속된 수정이 있는경우 그 부분만 add를 할 수 있다. y : 스테이지에 올린다 n : 올리지 않는다.
위에서 manager과 coach를 변경 아래에서 drax와 groot를 변경하지않는다면
변경사항을 확인하며 커밋하기 git commit -v
변경된 부분을 알려준다. git commit -v는 git diff -staged와 git commit를 합친것과 같다. git diff --staged : 변경된 부분을 알려주는것
커밋하기 애매한 변화 치워두기 다른 작업을 하다가 어떤 작업을 먼저 해야할 상황에 기존 작업을 잠시 치워두는것 tomcats의 작업을 먼저 해야할때. tamcat의 작업만 add한 후
git stash를 사용하면 아래와같이 변하게된다. 스태시 영역에 현재 작업이 저장된다. 다시 가져오려면? git stash pop